잡동사니/읽기
재미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병행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김현진. 2009. 이중언어학 39. 이중언어학회.
글벙
2009. 7. 18. 11:22
재미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병행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 Culture Program Design for Korean-American Teenagers
김현진. 2009. 이중언어학 39. 이중언어학회.
재미동포, Korean-American, 청소년, teenagers,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프로그램,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주제 통합 프로그램, topic-centered program
미국 내의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미국 중고등학교 현지 한국어 교사들의 요구를 수합, 분석하여 바람직한 한국어 및 문화 프로그램 개설에 필요한 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 중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한 논의는 최근 이해영(2008), 이선근(2007), 이동재(2003) 등에서 자세히 소개되었다. 이해영(2008), 이선근(2007) 두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이 현지 교육 과정에 맞는 교과서의 부재와 전문 교사 부족이었다. 교재는 한국어진흥재단과 국립국제교육원에서 교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 교사 문제는 최근 미국 서부의 일부 대학에서 한국어 전문 교사 양성과정이 만들어졌으나, 동부 지역은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아직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동재(2003)도 미국 중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과과정, 한국어 학습자의 능력을 주로 다루었다. 미국 내 한국어교육 정책을 동포 청소년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안하였다. 이는 실제 SAT II를 보는 재미동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 Culture Program Design for Korean-American Teenagers
김현진. 2009. 이중언어학 39. 이중언어학회.
재미동포, Korean-American, 청소년, teenagers,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프로그램,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주제 통합 프로그램, topic-centered program
미국 내의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미국 중고등학교 현지 한국어 교사들의 요구를 수합, 분석하여 바람직한 한국어 및 문화 프로그램 개설에 필요한 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 중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한 논의는 최근 이해영(2008), 이선근(2007), 이동재(2003) 등에서 자세히 소개되었다. 이해영(2008), 이선근(2007) 두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이 현지 교육 과정에 맞는 교과서의 부재와 전문 교사 부족이었다. 교재는 한국어진흥재단과 국립국제교육원에서 교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 교사 문제는 최근 미국 서부의 일부 대학에서 한국어 전문 교사 양성과정이 만들어졌으나, 동부 지역은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아직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동재(2003)도 미국 중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과과정, 한국어 학습자의 능력을 주로 다루었다. 미국 내 한국어교육 정책을 동포 청소년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안하였다. 이는 실제 SAT II를 보는 재미동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