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폰 & 통신

LTE 휴대폰의 불편한 진실 배터리 문제

아이폰의 LTE 채택 여부와 관련하여 배터리 때문에 곤란할 것 같다는 글을 2012년 2월 18일에 썼는데요. 2월 20일에 이런 기사가 아이뉴스24에서 떴군요. LTE폰, 어쩌다 '배터리먹는 하마' 됐나?  LTE 방식이 배터리를 많이 소모한다는 사실은 어차피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항이었을 텐데요. 통신사 SK텔레콤, olleh KT, LG텔레콤 등과 휴대폰 제조사 삼성, LG 등에서 LTE 스마트폰을 주력으로 집중 광고하는 상황에 기사를 쓰기는 곤란했을 겁니다. 

기사의 앞 부분에서 "4G LTE스마트폰. 빠른 통신 속도 등 많은 장점을 지녔다"고 했는데요. 통신 속도가 빠르다는 것 외에 무슨 장점이 더 있는지 모르겠군요. 통신사나 제조사 등의 눈치가 보여서 괜히 한마디 써 준 느낌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노키아 지멘스네트웍스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LTE폰이 3G폰보다 최고 20% 가량 전력 소모가 더 많다는 사실을 밝혔다고 하네요. 그리고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설명 뒤에 제 생각을 덧붙이겠습니다.

1. 
모든 LTE 기기들은 두 개 이상의 다중 안테나로 신호를 주고받는 미모(MIMO)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 아이폰 4S의 경우 3G 모델이지만, 통신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2개의 안테나를 채용했습니다. 아이폰의 미모 기술과 4G LTE 폰의 미모 기술이 같은지 다른지는 잘 모르겠지만, 짐작하기에는 같은 기술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실험을 했던 노키아 연구팀에서 3G폰의 경우에는 안테나 1개만 채용한 기종만 비교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지만, 만약 그렇게 비교했다면 잘못된 비교라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약어로 다중 입출력이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을 말한다. 기지국과 휴대단말기 안테나를 2개 이상으로 늘려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한다. 또 수신단에서도 각각의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해 간섭을 줄이고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2. 
기존 3G폰은 3G 데이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칩이 하나의 형태로 돼 있지만, LTE폰은 단말기 특성상 4G 통신칩이 별도로 장착돼 있어야 한다. 

>> 이 문제는 LTE 망이 전체 지역을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긴 문제입니다. 2G에서 3G로 통신망이 완전히 교체되는 기간이 무척 오래 걸렸다는 점을 생각하면, 상당히 오랫동안 해소되기 힘든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2G망 사용을 강제로 줄이려고 해서 그렇지, 사실은 아직도 2G망을 쓰는 곳이 많을 것입니다. 그만큼 3G망을 LTE망으로 완전히 교체하는 것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겠지요.

3.  현재로선 4G망이 일부 도시에만 설치돼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을 벗어날 경우 4G에서 3G로 전환해야 하는데 이때 배터리 소모가 상당히 심하다. 

>> 이 문제가 현재로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4G 사용을 OFF하는 옵션을 제공하고, 빠른 속도가 필요한 상황이고 LTE망이 있는 곳에서 선택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해줘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해 주지 않는다면 있지도 않는 LTE 망을 찾는다면서 배터리를 엄청나게 소모할 겁니다. 아이폰의 경우에는 전화 외에 3G 통신을 굳이 쓸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는 선택적으로 그 기능을 끌 수 있도록 옵션이 있습니다. 불필요한 데이터 소모도 막을 수 있겠지만, 어쩌면 3G 신호가 약한 지역에서 배터리를 많이 아낄 수 있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아이폰에서 3G 통신 막는 법에 대해서는 별도로 안내하겠습니다. 간단한 옵션인데 저도 알게 된 지 얼마 안 되었습니다.)

4. 
LTE폰의 넓어진 화면 크기
 
>> 화면 크기는 원래의 기사에서도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했지만, 화면 크기는 실제로 별로 결정적인 원인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화면 크기의 차이도 그렇게 많이 나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OS에서 화면 밝기를 자동으로 얼마나 잘 조정해 주느냐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삼성이나 LG에서 생산되는 LTE폰은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니,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것에 대해서 별 불만이 없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사실, 배터리 2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배터리 2개를 모두 완충하는 일도 귀찮은 일이고, 여분의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는 일도 귀찮은 일입니다. 또 휴대폰을 쓰다가 배터리 교체하는 것도 그리 유쾌한 일이 아니죠. 아이폰의 경우에는 배터리 교체 자체가 없으니, 배터리 소모 문제를 잘 해결하지 않는다면 아마도 LTE를 채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