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를 알고 싶다

(개정) 한글맞춤법 문장 부호 6. 쌍점

 1. 마침표 /  2. 물음표 / 3. 느낌표


 / 4. 쉼표 / 5. 가운뎃점 / 6. 쌍점


 / 7. 빗금 / 8. 큰따옴표 / 9. 작은따옴표


 / 10. 소괄호 / 11. 중괄호 / 12. 대괄호


 / 13. 겹낫표와 겹화살괄호 / 14. 홑낫표와 홑화살괄호 


 / 15. 줄표 / 16. 붙임표 / 17. 물결표


 / 18. 드러냄표와 밑줄 / 19. 숨김표 / 20. 빠짐표


 / 21. 줄임표 / (개정) 한글맞춤법 문장 부호(전체)



6. 쌍점( : )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예)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예)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예)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예)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예) 김 과장: 난 못 참겠다.

 예) 아들: 아버지, 제발 제 말씀 좀 들어 보세요.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예) 오전 10:20(오전 10시 20분)

 예) 두시언해 6:15(두시언해 제6권 제15장)


(4) 의존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예) 65:60(65 대 60) 예) 청군:백군(청군 대 백군)


[붙임]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3)과 (4)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