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지식채널e]에서는 평균이라는 것을 잘못 이해하는 사례로 소득 평균을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균 이하의 소득을 얻고 있음에도 고소득자의 엄청난 수치 때문에 평균값이 왜곡되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1인당 국민 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2012년 국민 1인당 국민 소득 GNI는 2만 2천 달러가 넘는다고 합니다. 2012년 달러 환율이 평균 1120원 정도라고 하니까, 2012년 1인당 소득은 평균 약 2500만원 정도 됩니다.
1년 소득이 2500만원이 넘는다면 우리나라 평균은 넘는구나 하고 생각할 수 있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 평균값에 왜곡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국민이 모두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100명의 소득 합계는 25억원이겠죠? 평균 2500만원 * 100명이니까요.
다음에 제시한 것과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 100명 중 90명이 평균 소득 이하에 속한다고 해도 평균 소득 2500만원이 나올 수 있습니다.
소득 1000만원인 사람 50명
소득 2000만원인 사람 30명
소득 2500만원인 사람 10명
소득 8000만원인 사람 5명
소득 1억원인 사람 3명
소득 2억 2500만원인 사람 2명
이렇게 소득이 나뉘어도 소득 평균은 2500만원이 됩니다. 100명 중 90%가 평균 2500만원 이하인데도 평균 소득 2500만원이 나오는 겁니다.
최고 소득자인 2명의 소득을 빼고 98명의 평균 소득을 계산하면, 2091만원이 됩니다.
최고 소득자인 5명의 소득을 빼고 95명의 평균 소득을 계산하면, 1785만원이 됩니다.
최고 소득자인 10명의 소득을 빼고 90명의 평균 소득을 계산하면, 1377만원이 됩니다.
평균이라는 것이 이렇게 현실을 왜곡할 수가 있는 것이죠.
소득 문제 말고도 이러한 사례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우리나라 주가지수가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2000을 넘느냐 마느냐 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인데요. 코스피 지수 3000을 넘게 만들겠다는 공약도 있었죠? 이 코스피 지수라는 것도 시가 총액 상위에 있는 몇몇 종목만 폭등해도 올라갑니다.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에서 시가총액 1위는 삼성전자인데요. 2013년 8월 9일 현재 181만 1781억원입니다. 2위는 현대차인데요. 48만 7912억원에 불과합니다. 삼성전자의 3분의 1 수준입니다. 3위가 포스코인데 28만 2921억원입니다. 2위와 3위의 차이도 상당히 크죠? 시가 총액 상위 9위를 볼까요? 한국전력인데요. 18만 8095억원입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9위 한국전력이 1위 삼성전자의 10분의 1도 되지 않는 겁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1% 오르는 것과 한국전력의 주가가 1% 오르는 것은 코스피 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 큰 차이가 나겠죠? 코스피 전체 종목이 다 하락하더라도 코스피 시가 총액 상위 종목 몇개만 상승하여 전체 평균값 코스피 지수를 올릴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코스피 지수는 계속 올라갔다는데, 왜 내가 산 주식은 계속 내려가는거야?
1인당 국민 소득은 매년 올라갔다는데, 왜 내가 1년 동안 버는 소득은 매년 그대로이거나 내려가지?
모두 다 평균의 함정 때문입니다.
소득 평균을 높이고 싶다면, 상위 소득자 10명의 소득을 올리는 것이 쉬울까요? 하위 소득자 80명의 소득을 올리는 것이 쉬울까요?
코스피 지수를 높이고 싶다면, 시가 총액 상위권 종목의 주가를 관리하는 것이 쉬울까요? 아니면 시가 총액 하위의 종목 수십개를 관리하는 것이 쉬울까요? 현실적으로 보자면, 정부가 연금, 기금 등을 동원해서 코스피, 코스닥 지수 등을 관리하고 있지 않나요? 뉴스에도 나오잖아요? "외국인의 투매로 인한 코스피 폭락을 연기금으로 방어했다"고 말이죠. 연기금 가운데 자금 규모가 가장 크고, 영향력이 센 것이 국민연금인 것 아시죠?
(사족입니다만, 국민이 낸 국민연금으로 사실상 정부가 주식 시장에서 주식에 투자를 해서 돈을 벌어도 문제가 되고, 돈을 잃어도 문제가 됩니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 시장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정부는 박정희 정부의 자주국방 정신을 계승할 수 있을까? FX 사업과 관련하여 (0) | 2013.08.21 |
---|---|
2013년 8월 20일 뉴스 모음 (0) | 2013.08.20 |
블랙아웃 비상! 전력예비율 확인 위젯 블로그 설치 방법 (0) | 2013.08.12 |
블랙아웃 우려되면 공공기관 단축 근무 실시해야 (0) | 2013.08.12 |
서울 시청앞 광장 꽉 차면 10만명, 한국기록원, 세계 기네스북 공식 인증 (0) | 201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