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를 알고 싶다

젓가락은 ㅅ받침인데, 숟가락은 왜 ㄷ받침일까?

젓가락은 받침을 시옷으로 적는데, 숟가락은 왜 디귿 받침으로 적어야 할까요?
발음 상으로는 /저까락/, /수까락/이니까 받침의 발음은 다르지 않은데 말이죠.

밥을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를 합쳐 흔히 수저라고 합니다. 또 숟가락을 수저라고 하는 사람도 꽤 있는 듯 합니다. 엄격하게 따져본다면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지칭하는 말입니다.


젓가락과 숟가락의 받침이 다른 이유는 가락에 결합된 앞 말의 원래 받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젓가락은 '저'와 '가락'이 결합했는데, 그 가운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 것이고,
숟가락은 '술'과 '가락'이 결합했는데, 발음이 /수까락/으로 나기 때문에 ㄷ받침으로 쓰는 것입니다. 만약 /술가락/이라고 발음되었다면 '술가락'으로 적었을 것입니다.
'술'이라는 말은 "밥 한 술 떠라"와 같은 문장에서와 같이 분량을 세는 단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술가락'이라는 말은 강원도 지방에서 방언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데, 강원도 방언으로는 /수까락/이라는 발음이 아닌 /술가락/이라는 발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숟가락과 비슷한 유형으로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소리가 'ㄷ'소리로 나기 때문에 'ㄷ'으로 표기하는 낱말로는 '반짇고리(바느질 + 고리)', '사흗날(사흘 + 날)', '이튿날(이틀 + 날)' 등이 있습니다.